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는 2005년 밸브에서 개발한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1인칭 슈팅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미국 육군 또는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6개의 병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토 점령 또는 폭파를 목표로 경쟁한다. 이 게임은 소스 엔진의 다양한 기술을 시연하며, 현실적인 무기 사용과 엄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출시 당시에는 맵 수가 적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그래픽, 사운드, 전략적인 게임 플레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스 게임 - 도타 2
도타 2는 밸브 코퍼레이션에서 개발 및 배급한 MOBA 비디오 게임으로, 10명의 플레이어가 두 팀으로 나뉘어 상대 진영의 고대 요새를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e스포츠로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소스 게임 - 에이펙스 레전드
에이펙스 레전드는 Respawn Entertainment에서 개발하고 Electronic Arts에서 배급하는 부분 유료화 배틀 로얄 히어로 슈팅 게임으로, 세 명의 플레이어로 구성된 분대가 각기 다른 능력을 가진 "레전드" 캐릭터를 선택하여 경쟁하는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이며, 히어로 슈터의 요소와 타이탄폴 시리즈의 게임플레이 기능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 헤일로: 컴뱃 이볼브드
헤일로: 컴뱃 이볼브드는 2001년 엑스박스 콘솔 출시와 함께 등장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마스터 치프가 되어 코브넌트 및 플러드와 싸우는 싱글 플레이 캠페인과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며, 독특한 게임 디자인으로 콘솔 게임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FPS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 콜 오브 듀티
콜 오브 듀티는 인피니티 워드, 트레이아크, 슬레지해머 게임즈가 번갈아 개발하는 1인칭 슈팅 게임 시리즈로, 매년 새로운 시리즈를 출시하며 캠페인, 멀티플레이어, 협동 모드 등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하고 현실적인 전투 연출과 꾸준한 진화를 특징으로 한다. - 2005년 비디오 게임 - 쿠사리
《쿠사리》는 Leaf의 오사카 개발실에서 제작한 어드벤처 게임으로, 초고속 실험선 바실리스크호의 첫 시험 항해 중 벌어지는 끔찍한 사건들과 그 중심에 있는 키시다 요이치의 음모를 다룬다. - 2005년 비디오 게임 - 소닉 X
소닉 X는 세가의 원안을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으로, 닥터 에그맨과 소닉 일행의 모험을 그리며, 1기에서는 인간 세계를 배경으로, 2기에서는 우주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 |
원제목 | Day of Defeat: Source |
장르 | 1인칭 슈팅 게임 |
모드 | 멀티 플레이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맥 OS X 리눅스 |
엔진 | 소스 엔진 |
작곡가 | 댄 헤이그 |
개발사 | 밸브 코퍼레이션 |
발행사 | 밸브 코퍼레이션 |
배급사 | 일렉트로닉 아츠(소매품) 스팀(온라인) |
출시일 | |
윈도우 | 2005년 9월 26일 |
맥 OS X | 2010년 7월 12일 |
리눅스 | 2013년 3월 14일 |
심의 정보 | |
ESRB | M |
PEGI | 16+ |
시스템 요구 사항 | |
CPU | 1.7 GHz 이상 CPU |
RAM | 512 MB RAM |
그래픽 카드 | DirectX 8을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 |
기타 | 인터넷 연결 |
기타 정보 | |
입력 장치 | 키보드 마우스 |
최신 버전 | 1.0.0.16 (2009년 12월 28일) |
스팀 앱 ID | 300 |
2. 게임플레이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특히 1944년의 유럽 전선을 배경으로 한다. 플레이어는 미국 육군 또는 독일 국방군에 합류하여 다양한 게임 모드에서 서로 경쟁한다. 플레이어는 각 팀 내에서 6개의 병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35]
게임 플레이는 현실성을 강조하여, 플레이어 캐릭터는 많은 피해를 견딜 수 없으며 때로는 단 한 발의 총격으로도 사망할 수 있다. 따라서 생존을 위해 엄폐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37] 캐릭터가 사망하면 짧은 부활 대기 시간을 거친 후, 그동안 사망한 다른 아군 플레이어들과 함께 다음 지원 병력으로 투입 지점에서 다시 게임에 참여(부활)하게 된다.[4] 게임 내 무기들은 현실적인 사용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기관총은 정확한 사격을 위해 거치해야 하고, 로켓 발사기는 조준과 발사를 위해 어깨에 견착해야 한다. 저격 소총은 조준경을 사용할 때 가장 정확하며, 수류탄은 투척 전에 안전핀을 뽑고 잠시 기다리는 '쿠킹'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적이 쉽게 피하거나 되던질 수 있다.[37]
게임의 전장은 이탈리아, 시칠리아, 프랑스 등 실제 연합군 작전 지역을 기반으로 하며, 팔레즈 포위전이나 안치오 해변 상륙 같은 역사적 전투와 가상의 전투를 포함한다. 전투는 도시 거리, 건물 내부, 하수도 등 다양한 환경에서 벌어진다. 초기에는 4개의 맵으로 시작했으나,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공식 맵 5개[1]와 커뮤니티 제작 맵 8개가 추가되었다.[15][17] 각 온라인 게임에는 최대 32명의 플레이어가 참여할 수 있다.[35]
또한, 게임은 각 플레이어의 상세한 통계를 추적한다. 여기에는 병과별 플레이 시간, 무기별 명중률 및 성과, 깃발 점령 횟수 등이 포함된다. 특정 과제를 달성하면 주어지는 "업적" 시스템도 갖추고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무기로 일정 수 이상의 적을 처치하거나 특정 시간 안에 라운드를 완료하는 식이다. 많은 업적은 병과별로 특화되어 있어 플레이어가 다양한 병과 능력을 골고루 향상시키도록 유도한다. 획득한 업적과 게임 통계는 플레이어의 스팀 프로필 페이지에 표시된다.
2. 1. 게임 모드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에는 크게 두 가지 주요 게임 모드가 있다: 영토 점령과 폭파이다.영토 점령 모드에서 플레이어는 맵에 있는 모든 전략적 지점을 점령하기 위해 싸운다.[4] 이 전략적 지점들은 거리나 들판에 있거나, 건물 안의 파괴된 전차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점령된 지점에는 해당 지점을 점령한 팀의 군대 색깔을 나타내는 깃발이 세워진다. 지점을 점령하려면 일정 수의 팀원이 지점 주변에 있어야 하며, 점령은 즉시 이루어지거나 몇 초가 걸릴 수 있다.[4] 상대 팀 플레이어는 점령 구역 안에 있거나 점령 지점에서 적 플레이어를 사살함으로써 점령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 한 팀이 모든 지점을 동시에 점령하면 해당 라운드에서 승리한다.[4]
폭파 모드의 목표는 대공포, 전차, 장갑차 등으로 이루어진 적의 여러 목표 지점에 폭발물을 설치하고 터뜨리는 것이다. 일부 목표 지점은 파괴하기 위해 두 번의 공격이 필요할 수도 있다. 플레이어는 설치된 폭발물이 터지기 전에 해체하여 자신의 목표 지점을 방어할 수 있다.[14] 이 게임 모드에는 몇 가지 변형이 있다.
- 한 가지 변형에서는 한 팀이 제한 시간 동안 자신의 목표 지점을 방어해야 한다. 공격 팀이 목표물을 파괴할 때마다 공격 팀에게 시간이 추가된다. 방어 팀은 제한 시간이 다 될 때까지 목표 지점을 충분히 오래 지켜내면 승리하고, 공격 팀은 모든 목표 지점을 파괴하면 승리한다.
- 다른 변형에서는 양 팀이 각자 자신의 목표 지점을 방어하면서 동시에 상대 팀의 목표 지점을 공격해야 한다. 상대 팀의 모든 목표물을 먼저 파괴하는 팀이 승리한다.[14]
2. 2. 병과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에서 플레이어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유럽 전선을 배경으로 미국 육군 또는 독일 국방군 중 한 진영을 선택하여 전투에 참여한다.[35] 각 진영은 6개의 고유한 병과를 제공하며, 플레이어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팀의 승리를 위해 협력해야 한다.[35] 각 병과는 특정 전투 상황에 맞춰 설계되었으며, 팀워크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한다.각 병과가 사용하는 무기와 장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육군과 독일 국방군이 실제로 사용했던 것들을 기반으로 한다. 일부 병과는 보조 무기로 미국의 M1911 권총이나 독일의 발터 P38과 같은 권총을 사용하며, 근접전을 대비해 참호 칼이나 개인 삽을 장비하기도 한다.[5] 수류탄은 병과의 역할에 따라 종류가 다른데, 소총수는 소총 유탄을, 돌격병은 엄폐를 위한 연막탄 1개와 파편 수류탄 1개를, 지원화기병은 표준 파편 수류탄 2개를 사용할 수 있다.[5]
각 진영별 병과의 상세한 무장 구성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2. 1. 미 육군
wikitext병과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기타 |
---|---|---|---|---|
소총수 | M1 개런드 | 너클 나이프 | 총류탄 2개 | |
돌격병 | 톰슨 기관단총 | 주먹 | 연막탄 1개, 수류탄 1개 | |
지원화기병 | BAR M1918 | 너클 나이프 | 수류탄 2개 | |
저격수 | 스프링필드 | M1911 콜트 권총 | 너클 나이프 | |
중화기병 | M1919 기관총 | M1911 콜트 권총 | 너클 나이프 | |
대전차병 | 바주카 | 칼빈 소총 | 너클 나이프 |
2. 2. 2. 독일 국방군
병과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기타 |
---|---|---|---|---|
소총수 | Kar 98k | 군용 삽 | 총류탄 2개 | |
돌격병 | MP38 | 주먹 | 연막탄 1개, 수류탄 1개 | |
지원화기병 | STG44 | 군용 삽 | 수류탄 2개 | |
저격수 | Kar 98k 스코프 | 발터 P38 | 군용 삽 | |
중화기병 | MG 42 | 발터 P38 | 군용 삽 | |
대전차병 | 판저슈렉 | 마우저 C96 | 군용 삽 |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는 밸브 코퍼레이션의 소스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 게임은 소스 엔진의 주요 게임인 ''하프라이프 2'' 개발 중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으로 처음 발표되었으며, 밸브 코퍼레이션의 골드 소스 엔진 기반 게임 중 새로운 소스 엔진으로 리메이크될 여러 게임 중 하나였다. ''하프라이프 2''와 ''카운터-스트라이크: 소스''가 출시된 후, 2005년까지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의 개발에 대한 정보는 거의 공개되지 않았다.
3. 개발
2005년 2월, 밸브는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가 베타 개발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그 해 1분기 말에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6] 곧이어 게임은 내부 베타 테스트로 전환되었고, 일부 ''데이 오브 디피트'' 커뮤니티 회원들이 테스트에 참여했다. 초기 베타 버전은 당시 골드 소스 버전의 플레이어 및 무기 모델을 그대로 사용하는 등 원작의 직접적인 변환에 가까웠다. 그러나 베타 테스터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게임 플레이에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졌고, 단순한 변환에서 벗어나 무기 작동 방식이 변경되고 원작의 여러 병과가 제거되었다. 이후 공개된 미디어 자료에서는 새로운 플레이어 및 무기 모델, 라이플 수류탄과 연막 수류탄 같은 새로운 요소들을 포함한 개선된 게임 버전을 선보였다.
2005년 9월 2일, 밸브는 그 달 안에 게임을 출시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발표했고,[7] 7일 후인 9월 9일에 2005년 9월 26일을 공식 출시일로 확정했다.[8] 게임은 2005년 9월 14일부터 밸브의 스팀 콘텐츠 배포 시스템을 통해 사전 로드가 가능하게 되었으며,[9] 예정대로 9월 26일에 정식 출시되었다.[10]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는 출시 이후 여러 차례 업데이트를 거치며 게임 플레이 개선, 새로운 맵 추가, 그래픽 효과 향상 등이 이루어졌다. 주요 업데이트 내역은 다음과 같다.3. 1. 기술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는 밸브가 여러 소스 엔진 기술을 시연하는 플랫폼으로 사용되었다. 이 게임은 ''하프라이프 2''의 비플레이어 캐릭터에 국한되었던 동적 오디오 시스템을 도입했다.[37] 게임 내에서 각 무기의 발사 소리는 거리 및 폐색(물체에 가려지는 정도) 변수와 관련되어 처리되며, 이는 플레이어에게 현실감 있는 사운드를 전달한다. 플레이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소리는 고주파수가 부족하게 처리되어 자연스럽게 들리도록 했고, 맵 상 다른 플레이어들의 행동 소리가 레벨의 주변 소리를 구성하도록 설계되었다.[37]
또한, 이 게임은 밸브의 고 다이내믹 레인지 렌더링(HDR) 기술을 통합한 최초의 게임으로, 공식 기술 시연 레벨인 ''하프라이프 2: 로스트 코스트''보다 먼저 적용되었다.[20] 게임 출시 이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의 영화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한 여러 시각 효과들이 추가되었다. 여기에는 모션 블러,[21] 피사계 심도,[22] 필름 그레인,[23] 색상 보정 등이 포함된다.[24] 소스 엔진의 퐁 쉐이딩 기술은 2006년 2분기의 주요 업데이트를 통해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에 추가되었다.[14]
4. 평가
''Day of Defeat: Source''(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리뷰 집계 사이트인 메타크리틱과 게임랭킹스에서의 평균 점수는 아래 표와 같다.[48][49]
평론가 | 점수 |
---|---|
메타크리틱 | 80/100 (22개 리뷰)[48] |
게임랭킹스 | 81.25% (22개 리뷰)[49] |
1UP.com | B−[41] |
Allgame | 3.5/5[42] |
GameSpot | 8.1/10[43] |
GameSpy | 3.5/5[44] |
IGN | 8.4/10[45] |
PC Gamer UK | 86%[46] |
PC Zone | 7.9/10[47] |
게임의 그래픽은 특히 좋은 평가를 받았다. GameSpot은 "프레젠테이션은 ''Day of Defeat: Source''(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의 가장 두드러진 강점"이라고 언급했으며,[43] ''PC Zone''은 그래픽이 게임의 "긴장감 넘치고 분위기 있는" 느낌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47] 게임의 래그돌 물리 효과는 여러 리뷰어로부터 "재밌다"는 평가를 받았고,[46][43][45] 사운드 디자인 또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핵심 게임플레이는 1UP.com이 "번개 전쟁과 깃발 뺏기의 만남"이라고 묘사할 정도로 호평받았다.[41] 많은 리뷰어들이 클래스 간의 상호 의존성과 전략적인 게임 플레이 방식을 높이 평가했으며,[43][45] 제공되는 콘텐츠의 품질 자체는 매우 높다는 평가가 많았다.[43][45]
하지만 게임 콘텐츠의 양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의견이 있었다. 제공된 콘텐츠의 품질은 칭찬받았지만, 초기 출시 버전에 포함된 맵 수가 적다는 점이 주로 지적되었다. 밸브가 추후 콘텐츠 추가를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IGN은 기존 콘텐츠가 금방 "진부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으며,[45] GameSpy는 게임의 "폭이 부족"하다는 점을 "심각한 단점"으로 꼽았다.[44]
또한, ''PC Zone''은 게임이 원작의 소규모 교전 방식을 고수함으로써 ''Counter-Strike''와 크게 차별화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게임이 "많은 사랑을 받은 모드를 외관만 바꾼 것"처럼 느껴지며, 다시 비용을 지불할 가치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PC Zone''은 "이것은 오래된 게임이다. 훌륭하고 아름다운 오래된 게임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게임이다"라고 평가를 마무리했다.[47]
참조
[1]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http://store.steampo[...]
Valve Corporation
2010-06-27
[2]
웹사이트
Now on Mac! - Day of Defeat: Source
http://store.steampo[...]
Valve Corporation
2010-07-12
[3]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http://uk.pc.gamespy[...]
GameSpy
2008-06-09
[4]
웹사이트
Gameplay
http://www.dayofdefe[...]
Valve Corporation
2008-06-09
[5]
웹사이트
Classes
http://www.dayofdefe[...]
Valve Corporation
2008-06-09
[6]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Is Coming
http://uk.pc.ign.com[...]
2008-06-01
[7]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Is Coming
http://uk.pc.ign.com[...]
2008-06-01
[8]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Dated
https://web.archive.[...]
2008-06-01
[9]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on Steam
http://uk.pc.ign.com[...]
2008-06-01
[10]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Released
http://uk.pc.ign.com[...]
2008-06-01
[11]
웹사이트
Wednesday, November 23 2005
http://steampowered.[...]
Valve Corporation
2017-03-29
[12]
웹사이트
Friday, January 20 2006
http://steampowered.[...]
Valve Corporation
2017-03-29
[13]
웹사이트
Day of Defeat Gets Summer Update
http://uk.pc.ign.com[...]
2008-06-01
[14]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Updated
http://uk.pc.ign.com[...]
2006-06-01
[15]
웹사이트
Steam Marketing Message
http://www.steampowe[...]
Valve Corporation
2008-06-01
[16]
웹사이트
Community Assembled Map Pack (CAMP1)
http://forums.steamp[...]
Steam forums
2008-06-01
[17]
웹사이트
Steam Marketing Message
http://www.steampowe[...]
Valve Corporation
2007-06-01
[18]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 The Palermo Update
http://www.steampowe[...]
Valve Corporation
2007-07-03
[19]
웹사이트
Day of Defeat Steamworks Update in Beta
http://uk.pc.ign.com[...]
2008-06-01
[20]
웹사이트
Cinematic effects in Source -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bit-tech
2007-10-22
[21]
웹사이트
Cinematic effects in Source - Motion Blur
http://www.bit-tech.[...]
bit-tech
2007-10-22
[22]
웹사이트
Cinematic effects in Source - Depth of Field
http://www.bit-tech.[...]
bit-tech
2007-10-22
[23]
웹사이트
Cinematic effects in Source - Film Grain
http://www.bit-tech.[...]
bit-tech
2007-10-22
[24]
웹사이트
Cinematic effects in Source - Colour Correction
http://www.bit-tech.[...]
bit-tech
2007-10-22
[25]
영상
Day of Defeat: Prelude to Victory
http://www.steampowe[...]
Valve Corporation
2008-06-10
[26]
영상
Day of Defeat: Colmar
http://www.steampowe[...]
Valve Corporation
2008-06-10
[27]
영상
Day of Defeat: Operation Jagd
http://www.steampowe[...]
Valve Corporation
2008-06-10
[28]
웹사이트
Play Day of Defeat: Source For Free
http://uk.pc.ign.com[...]
2008-06-09
[29]
웹사이트
More free Day of Defeat
https://archive.toda[...]
2008-06-09
[30]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The Palermo Update – Free Weekend
http://storefront.st[...]
Valve Corporation
2008-07-03
[31]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for PC
https://www.gamerank[...]
CBS Interactive
2019-04-16
[32]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for PC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9-04-16
[33]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PC Review
http://www.1up.com/d[...]
2008-06-01
[34]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for PC
http://uk.gamespot.c[...]
2008-06-01
[35]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Review
http://uk.pc.gamespy[...]
GameSpy
2008-06-01
[36]
웹사이트
"Day of Defeat: Source Review"
http://uk.pc.ign.com[...]
2005-11-27
[37]
간행물
"Reviews: ''Day of Defeat: Source''"
2005-12
[38]
웹사이트
"PC Review: ''Day of Defeat: Source''"
http://www.computera[...]
Computer and Video Games
2005-11-21
[39]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http://steampowered.[...]
밸브 코퍼레이션
2008-06-09
[40]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http://uk.pc.gamespy[...]
게임 스파이
2008-06-09
[41]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PC Review"
http://www.1up.com/d[...]
1UP.com
2005-11-02
[42]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Retail Box"
http://www.allgame.c[...]
Allgame
2008-06-02
[43]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for PC"
http://uk.gamespot.c[...]
GameSpot
2005-10-04
[44]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Review"
http://uk.pc.gamespy[...]
GameSpy
2005-10-31
[45]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Review"
http://uk.pc.ign.com[...]
IGN
2005-11-27
[46]
잡지
"Reviews: ''Day of Defeat: Source''"
2005-12
[47]
웹인용
"PC Review: ''Day of Defeat: Source''"
http://www.computera[...]
"Computer and Video Games"
2005-11-21
[48]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PC: 2005) Reviews"
http://www.metacriti[...]
Metacritic
2012-04-14
[49]
웹인용
"Day of Defeat: Source Reviews"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12-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